저는회사에 자격증을 걸고 25년도 근로계약서에 월 기본으로 100만웡 으로계약하였으며월 5일 출근은 기본으로 하고 추가출근시 1일 20만원씩 지급받는걸로 계약하였으나 25년 1월이후 현재계약후 일이없어 매월 5일 이상 출근하지않아였습니다보헙료( 건간보험료, 고용보헙, 산재보험료는 회사에서 납입하였습니다이런조건이라면 월근무시간이 160시간이초과되는지요기시
안녕하세요
근로계약 내용과 실제 근무 상황을 기준으로 월 근로시간이 160시간이 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싶으신 거죠?
말씀하신 상황을 기준으로 쉽게 계산해드릴게요.
< 근무 조건 요약 >
항목 | 내용 |
근무 형태 | 월 기본 5일 출근 보장, 추가 출근 시 1일 20만 원 지급 |
근무일수 | 1월 이후에도 매월 5일 미만만 근무 중 |
급여 | 월 기본 100만 원 + 추가 출근일 × 20만 원 |
4대 보험 | 회사에서 모두 가입 (고용보험, 산재, 건강보험 등) |
핵심 궁금증 | 월 근로시간이 160시간 이상인지 여부 |
■ 월 근로시간 계산법 (기본 공식)
** 질문자님 상황에서 근로시간 추정
1일 근무시간: 명확히 적혀 있지 않지만, 통상 8시간 기준으로 가정할게요
월 출근일: 5일 이하
따라서,
5일 × 8시간 = 40시간 (최대)
실제로는 40시간보다 더 적을 수도 있음
결론: 질문자님의 실제 월 근로시간은 명백히 160시간 미만입니다.
■ 참고사항
- 월 160시간 미만이라도 고용보험 가입은 가능
- 실제로 질문자님은 고용보험, 건강보험 모두 가입돼 있음
- "단시간근로자"로 등록되었을 가능성이 높아요
- 실업급여나 사회보험 관련 판단은 ‘실근무시간’ 기준
- 나중에 실업급여를 신청하시거나 4대보험 문제로 문의하실 경우, 고용센터에서는 실제 출근일수 및 근무시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근로계약서 내용 + 급여 내역은 꼭 보관 추후 분쟁이나 퇴직 시 근로시간 증빙용으로 사용됩니다.
항목 | 답변 |
월 근로시간 160시간 넘나요? | ❌ 5일 이하 근무 → 명백히 160시간 미만 |
고용보험 등 가입돼도 괜찮나요? | ✅ 단시간근로자도 가입 가능 (정상 처리로 보임) |
급여 기준 시간당 환산 시? | 예: 100만 원 ÷ 40시간 = 시급 25,000원 (추정 기준) |
지금처럼 근무일수가 적은 조건이라면 전일제 근로자와 다른 법적 기준이 적용되기 때문에, 헷갈리는 부분이 많으실 수 있어요.
하지만 질문자님은 근로계약서도 있고, 보험도 정상 납부되고 있으니 걱정보다는 정확한 기록 보관 + 증빙 준비만 해두시면 됩니다.
혹시 실업급여, 퇴직금, 고용보험 관련으로도 궁금하신 게 있다면 언제든지 도움드릴게요!
관련 기준은 아래 블로그에서도 참고하실 수 있어요

실업급여 완전 정복! 조건부터 신청방법 · 수급기간 · 금액 총정리실업급여는 비자발적으로 실직한 근로자가 재취업을 준비하는 동안 일정 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단, 모든 사람이 받을 수 있는 건 아니며 조건과 절차를 정확히 따라야 합니다. 아래에서 핵심 내용만 쉽고 빠르게 정리해드립니다.아래 내용만 제대로 알면 누구든지 빠르고 정확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란?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본인 의지와 상관없이 퇴사했을 때, 재취업 활동을 조건으로 지급되는 구직 활성화 지원금입니다. 실업급여 수급 조건구분내용고...
buleebulee.tistory.com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